본문 바로가기

상설전시

기당미술관

「폭풍의 화가, 변시지」상설전시실

변시지의 성산일출봉 '황토빛 제주화'라는 독창적인 화풍으로 미국 스미소니언박물관에 전시되고 있으며, 국외의 주요한 인터넷사이트에서 세계유명작가들과 나란히 소개되고 있다.
일본과 서울생활을 거쳐 제주로 귀향(1975년)한 후 '섬'이라는 고립된 공간과 그 속에 살아가는 제주인을 통해서 인간본성을 통찰한 변시지선생은 '제주화' 라는 독특한 화풍를 완성해냈다.
캔버스와 유채(油彩)라는 전통적인 서양화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지만 황토색 바탕에 먹색으로 그어낸 조형기법은 오히려 수묵화를 연상케 하는데 동양사상과 미의식에서 비롯된 새로운 조형미의 발견임을 알 수 있다.
기당미술관에 전시되고 있는 변시지선생의 작품들은 80년대 이후에 그려진 '제주화' 화풍의 작품들이다.

「강용범」상설전시실

강용범의 사무사 강용범선생은 미술관 기증자인 기당(奇堂) 강구범선생의 친형으로 1900년에 서귀포시 법환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한학을 공부하였으며, 7~9세 무렵에 전주의 유명한 한학자 간제(艮齊) 전우(田愚)선생의 문하에 입문하여 한학을 수학하며 글씨를 배웠다.
호(號)는 수암(修庵), 혹은 소석(小石)이고 필방택호(筆房宅號)는 무본재(務本齊)라 불렀다. 수암선생의 글씨는 대부분 초서(草書)이며 활달하면서도 힘이 느껴지는 필법을 구사하였다.
수암선생 사후(死後)에 강구범선생이 미술관을 건립하면서, 수암선생의 유품 및 유작을 수합하여 기증하였다.

소암기념관

소암 현중화 선생

  • 본적 : 연주(延州)
  • 아호 : 소암(素菴), 녹담(鹿潭), 소암우인(素菴迂人), 소암초인(素菴樵人), 소옹(素翁), 서귀소옹(西歸素翁)
  • 당호 : 녹담서원(鹿潭書院), 조범산방(眺帆山房), 탐라호루(耽羅胡樓)

소암글씨는 생활·고전·자연의 결정(結晶)이다. 소암은 일생에 걸쳐 오직 ‘먹고 잠자고 쓰면서’ 근 3000년에 걸친 서예고전의 재해석에 몰두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역사 힘으로 작가의 현실공간인 제주바다와 산, 하늘을 필묵에 녹여냈다. 그래서 소암글씨는 인간 현중화 그 자체이자 당대 현실이고, 서귀포 파도이자 한라산 바람과 달이다.
소암의 텍스트는 불교(佛敎)나 노장(老莊)계통 경전이나 대학(大學) 중용(中庸), 그리고 선시(禪詩)등 다분히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는 경지를 노래한 것이 주를 이룬다. 이것이 곧 '도(道)'이자 '중화(中和)'이고, 또 '불이(不二)'이기도 한데, '달아 달아 밝은 달아'처럼 사형취상(捨形就象:사물의 외형을 버리고 내면의 실상을 취하는 것)하여 문자로 달을 '그리는' 것이 바로 내용과 조형이 하나되는 소암서의 참다운 경지라 하겠다.

이중섭미술관

화가 이중섭

이중섭(李仲燮) 1916~1956
가장한국적인 작가인 동시에 가장 현대적인 작가

이중섭과 서귀포 <오광수>
1·4후퇴 때 원산을 떠난 이중섭과 그 가족은 잠시 부산에 머문 후 제주 서귀포에 도착한다. 제주 서귀포는 이중섭에게 대단히 주요한 시공간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길 떠나는 가족>이라는 작품 속에 따뜻한 남쪽 나라로 떠나는 이중섭 가족의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 소달구지 위에 여인과 두 아이가 꽃을 뿌리고 비둘기를 날리며 앞에서 소를 모는 남정네는 감격에 겨워 고개를 제끼고 하늘을 향하고 있다. 하늘에는 한 가닥 구름이 서기처럼 그려져 있다. 소를 모는 남정네는 작가 자신이고 소달구지 위에 있는 여인과 두 아이는 부인과 두 아들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가족이라는 모티브는 이중섭의 작품 속에 자주 등장한다. 그렇긴 하지만 이처럼 가족의 흥겨운 한 순간을 포착한 작품은 <길 떠나는 가족> 외에 따로 없다. 길을 떠난다는 것은 잠깐 어디를 향해 가는 경우도 있지만 이중섭의 <길 떠나는 가족>은 거처를 옮기는 이주를 나타낸다. 정든 고향을 버리고 가는 슬픈 이주가 태반이지만 이중섭의 <길 떠나는 가족>은 즐거운 소풍놀이라도 가듯 흥에 겨운 이주로 묘사되어 있다. 그것은 자신들이 향해가고 있는 곳이 다름 아닌 지상의 낙원으로서의 따뜻한 남쪽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제주 서귀포는 이중섭에게 있어 지상의 유토피아로서의 공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