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귀포공립미술관 공동기획전 <시.시.시>

· 작성자 : 소암기념관      ·작성일 : 2023-07-10 17:08:36      ·조회수 : 8,244     

 

2023년 서귀포공립미술관 공동기획전 <시. 시. 시. : 세 개의 의미, 하나의 울림>

 

2023. 7. 11(화) - 8. 27(일) / 소암기념관, 이중섭미술관, 기당미술관 전시실

 

소암기념관 / 詩點 / Ponitn of Time

초대작가 : 김종건, 조기섭

 

시간이라는 것은 찰나의 순간이자 동시에 영원하기도 합니다. 현대 과학으로도 명확하게 정의되지 못하는 시時, Time는,

그렇기 때문에 수많은 예술가들의 영감을 자극해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의 ‘시점時點’은 멈춰있는 시간의 조각 즉, 시각예술에서
장면의 포착이라는 단순한 의미를 넘어, 시작과 완성이라는 서사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연속이자, 그 결과로써 작품이 내포하게 되는

무수한 시점의 중첩이라는 해석에 방점을 두었습니다.

 

서귀포공립미술관 공동기획전 <시· 시· 시· : 세 개의 의미, 하나의 울림>의 소암기념관 전시에는 서예와 글자의 독창적 해석과

확장을 통해 장르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 김종건 작가와, 작업의 재료와 과정, 구현된 작품을 통해 시각과 시간이라는 주제를 탐구해온

조기섭 작가를 초대하여 그들이 작품에 녹여낸 내면의 시점들을 함께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삼여 김종건 SAMYO KIM ZHONG KUN
 

서예와 디자인을 전공한 김종건 작가의 작품을 보면서 이것을 글자라고 생각할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작가는 서예, 디자인, 손글씨와 회화의 경계를 종횡무진 가로지릅니다. 하지만 모든 작품의 주제를 관통하는 것은
‘획畫’입니다. 글자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획은 장르를 넘나들며 동시에 ‘선線’이 되고 ‘형形’이 됩니다.

작품 안에서 요동치는 획들은 마치 서구추상표현주의의 전위적 느낌까지도 들게 합니다. 사각형의 구획에서 벗어나
산과 바다를 이루며 나무와 꽃이 되기도 합니다. 작가는 정보의 전달이라는 기능을 수반할 수밖에 없는 서書에서

재현되는 문자언어를 해방함으로써 생명력을 부여하고, 표현과 해석의 가능성을 무한히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SAMYO-20020 / 147×291cm / 광목천에 아크릴 / 2020

 

 

애월바다/ 120×80cm×5pcs / 혼합재료 / 2023

 

 

   

SAMYO-21004 / 160×130cm / 혼합재료 / 2021 

 

 

SAMYO-21002 / 160×130cm / 혼합재료 / 2021

 

조기섭 JO KI SEOB

한국화를 전공한 조기섭 작가의 작품은 얼핏 지나치듯 보면 하얗거나 은빛으로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작품은 관람자에게 시간을 들이고, 공간을 바꿔가며 감상하기를 요구합니다. 첫 번째 이유는 호분과 은분이라는
재료적 특성에 기인합니다. 작가가 ‘백색도Whiteness’라고 표현한 개념 관찰의 시점時點에 따라 만변萬變하는

색채와 형상을 드러내고 숨깁니다. 두 번째 이유는 작가의 작업이 그러했기 때문입니다. 쌓음과 깎아냄이 무수히 반복되는

그 과정은 작품 안에 농밀하게 함축되고, 빛을 통해 시각으로 인식되며 신비로운 풍경들을 펼쳐냅니다.

은백색의 무한한 화폭 속에 아름답게 명멸 明滅하는 순간들을 위해 우리는 기꺼이 시간과 공간을 할애할 수 있을 것입니다.

 

00000 : Sam sara / 204×720cm / 장지에 은분 / 2019

 

 

Zen(禪) #1 / 장지에 은분, 호분 / 100×200cm / 2018

 

 

바다 / 장지에 은분,호분,과슈 / 77.2×140cm / 2017

 


23페이지 / 현재 12페이지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8 소암기념관 휴관 안내 1 소암기념관 2020-02-25 6876
117 소암기념관 < 다시 봄: 소장품전 > 안내.. 1 소암기념관 2020-02-20 8240
116 소암기념관 < 다시 봄 : 소장품전 > 1 소암기념관 2020-02-20 7145
115 소암기념관 교육(실기)프로그램 4월부터 시작합니다 .. 소암기념관 2020-02-05 7196
114 소암기념관 < 작가와의 대화: 소설가 조정래> 행사 취.. 소암기념관 2020-02-04 7851
113 소암기념관 < 작가와의 대화: 소설가 조정래 >.. 소암기념관 2020-01-29 7304
112 소암기념관 소장작품전 안내 3 소암기념관 2019-12-07 6268
111 소암기념관 건물외부 공사 안내 소암기념관 2019-10-16 7737
110 2019년 대한민국 문화의 달 기념 안내 소암기념관 2019-10-15 8591
109 소암기념관 개관11주년기념 <금봉 박행보-강산을 훔쳐.. 3 소암기념관 2019-10-02 6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