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품명 | 한거심자 閑居心自(가리개) | ||
|---|---|---|---|
| 작가 | 현중화 | 관리번호 | S-466 |
| 부문 | 서예/문인화 | 구분 | 평면 |
| 제작년도 | 1986 | 규격(cm) | (cm) : 111×55(2) |
| 출처 | 현중화 | 재료/기법 | 종이에 먹 |
| ※ 원감국사 圓鑑國師 한중우 시 閑中偶 詩(한가한 틈에 우연히 지은 시)
閑居心自適(한거심자적)한가로이 살아가니 마음은 자적하고 獨坐味尤長(독좌미우장)홀로 앉았으니 그 맛이 더욱 좋구나 古栢連高閣(고백연고각)늙은 동백은 높은 누각에 뻗쳐있고 幽花覆短墻(유화복단장)그윽한 꽃들은 낮은 담을 덮었네 甕甌茶乳白(옹구차유백)질그릇 발우에는 차는 우유빛 榧机篆煙香(비궤전연향)비자나무 책상에는 차 향기 피어나네 雨歇山堂靜(우헐산당정)비 그친 산당은 고요한데 臨軒快晩凉(임헌쾌만량)툇마루엔 저녁 기운 상쾌하도다 圓鑑國師((1226~1292)?俗名 : 魏元凱(위원개) 字 복암(宓庵), 法名은 法桓(법환)・충지, 諡號(시호): 圓鑑國師. 조계산 修禪社(수선사) 송광사 第6世 國師.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