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당미술관 소장품전 <나에게 주는 그림 선물> 전시안내
· 작성자 : 기당미술관 ·작성일 : 2024-11-28 14:26:01 ·조회수 : 4,253
□ 서귀포시 기당미술관에서는 올해 마지막 전시로 소장품 기획 전시 <나에게 주는 그림 선물>을 내년 2월 23일까지 진행한다.
❍ 이번 전시는 기당미술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되며 박서보, 서세옥, 민경갑, 민이식, 김영철, 오석훈, 고경희, 박순민 등 작가들의 작품 총 39점이 소개된다.
□ 이번 전시는 미술관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좋은 그림 한 점을 선물한다’는 마음으로 작품들이 선정되었고, 관람객들이 ‘마음에 드는 그림을 마음에 담아간다’는 의미로 기획되었다.
❍ 전시는 크게 3개의 소주제로 구성되는데
▲ 첫째, 이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그림들이다. 나쁜 기운을 막는 수호신 역할을 하는 정묘신(丁卯神), 생명이 긴 열가지 장생물을 그려낸 상상의 선계 <십장생도>, 부귀를 상징하는 꽃 <목단(牧丹)>과 밤낮으로 정진하라는 의미의 법구인 <목어> 그림 등 좋은 의미와 기운으로 긍정 에너지를 발산하는 작품들로 구성되었다.
▲ 둘째, 옛 기억의 소중한 단면을 소소히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한적했던 옛 동네의 풍경 <Memory>, 집안 물건들의 배치를 통한 화면의 구성력을 보여주는 <사이>와 옛 시간과 함께 해온 물건의 배치인 <기억너머-98>은 추억 속 어린 시절로 우리를 송환한다.
▲ 셋째, 작가의 생각이 자유롭게 표현된 반추상 작품들이다. 소재를 특정지을 수는 없지만 구성과 색채 사용에서 새로운 생각의 발상과 편안함을 주는 장식적인 작품들이다. 단색화 유행을 이끌었던 <묘법900130>, 자유분방한 색의 드로잉으로 그려진 <정물>, 동양화의 현대적 해석 <산>, 먹선을 통한 경쾌한 몸짓의 <사람들>은 우리에게 각기 다른 상상 세계로의 사고 확장을 유도한다.
□ 서귀포시 관계자는 “미술관의 그림은 보물창고이다. 다양한 연령대의 관람객들은 관심갖는 작품도 다를 것이다. 나에게 감동을 주는 작품을 찾고, 천천히 음미해 보며 작가와 소통하는 시간을 만들어 보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전 시 개 요>
❍ 전 시 명 : 기당미술관 소장품전 <나에게 주는 그림 선물>
❍ 기간/장소 : 2024. 11. 15. ~ 2025. 2. 23./기당미술관 기획전시실
❍ 내 용 : 미술관에서 마련한 선물 같은 그림들, 기당미술관의 소장품 39점
❍ 주요작품(작가) : <묘법 NO.900130(박서보)>, <사람들(서세옥)>, <산(민경갑)>, <시원(민리식)>, <사이(김영철)>, <서천꽃밭(오석훈)>, <백합(고경희)>, <플라타너스가 보이는 풍경(박순민)> 등
❍ 관람정보 : 화요일 ~ 일요일, 월요일 휴관
09:00 ~ 18:00 (17:30분 입장 마감)
총 235페이지 / 현재 20페이지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
---|---|---|---|---|---|
2151 | 뮤지컬 <이벤져스 라이브> | 김정문화회관 | 2025-03-31 | 2574 | |
2150 | 뮤직드라마<당신만이> | 1 | 2025-03-30 | 4338 | |
2149 | 해학창극 <전라 뺑파, 제주에 납시었네>.. | 2025-03-30 | 4704 | ||
2148 | 온 가족을 위한 해설 클래식 알꿀락<오페라vs뮤지컬>.. | 1 | 2025-03-30 | 3456 | |
2147 | 김연자, 김태연, 양지원, 황민우 출연 <세대공감 트로.. | 1 | 2025-03-27 | 3722 | |
2146 | 지붕 없는 도서관「작별하지 않는 기억, 4월의 그날」.. | 3 | 송정민 | 2025-03-27 | 2489 |
2145 | 2025년도 관광객참여예산제 시범사업 공모 .. | 2 | 기당미술관 | 2025-03-26 | 2550 |
2144 | 공개추첨 결과 알림 <싱잉볼, 아트포레스트, 캘리그라.. | 서귀포시 | 2025-03-25 | 3594 | |
2143 | 2025년 상반기 도예아카데미 수강생 선발 결과 알림.. | 이중섭미술관 | 2025-03-25 | 4143 | |
2142 | 2025년 4월 작가의 산책길 공연일정 및 공연팀 소개.. | 1 | 문화관광체육국 | 2025-03-24 | 2137 |